본문 바로가기

취미 생활136

흥부 (Heung-boo: The Revolutionist, 2017) 다 좋았는데… 결론으로 가는 과정에서 이상하게 웃음이 나왔다. 너무 민주주의 뽕에 취한 영화랄까요? 우리의 전래동화가 실화라면? 이란 간단한 질문에서 이런 이야기와 각색이 나오는 점이 좋았습니다. 다만 몇 가지 흠을 꼽자면 영화 소품에서 너무 현대적인 모습이 느껴지는 것이랑 후반으로 갈수록 민주주의 분위기가 너무 강했습니다. 물론 백성들도 적당한 선을 지키며(?) 왕을 보호하지마는 그냥 그 분위기가 웃겼습니다ㅋㅋ 최근에 민주주의 관련된 영화가 많이 나와서 그런 걸까요… 여튼 저도 민주주의를 수호해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좀 과한 내용이었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포스터에 홍보한 새로운 흥부전을 분량이 적은 게 아쉬웠습니다…ㅋㅋㅋ 흥부전에 뒷이야기를 이렇게 상상할 수 있다는 점에서높이 평가하고 싶습니다.^^ 2018. 2. 18.
메이즈 러너: 데스 큐어 (Maze Runner: The Death Cure , 2018) 헝거게임 보다는 잘 만들었다. 헝거게임 영화의 연출이나 그래픽과 비교하는 것이 아닌 스토리 면에서 그렇습니다. 잘 매듭지었습니다. 소설이 원작인 영화의 문제는, 소설을 안 본 사람들도 영화 내용 흐름과 개연성에 큰 문제 없이 받아 들여야 하는데 메이즈러너 영화 시리즈는 충분했습니다. 원작을 본 사람은 어떻게 받아들일지는 모르겠지만 소설을 안 본 사람들도 충분히 스토리를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그런데 결말 부분에 심오한 철학을 기대하곤 했습니다. 토마스가 자신을 희생해서 사람들을 살려내는 그런 장면을 상상했지만 아쉽게도 그런 장면은 없었네요. 그래도 영화 속 결론도 마음에 듭니다. 마지막에 편지를 읽고 그들의 시련과 고난 그리고 우정을 돌에 새기는 모습에서 우리는 사랑하는 사람을 떠날 때 그들을 기억하는 .. 2018. 2. 17.
도시의 발견 - 정석 저는 인류 최고의 발명품 중에 하나를 꼽으라면 도시라고 생각합니다. 잘 생각해보면 우리 인류가 그동안 발전할 수 있었던 것은 공동체에서 시작하여 마을 그리고 도시로 이어졌기 때문입니다. 물론 도시가 확장되어 국가란 개념이 있지마는 그렇게까지 넓은 개념으로 보지 않더라도 도시라는 발명품 안에서 우리는 많은 정보뿐만 아니라 삶을 공유하고 있습니다. 그 과정 중에서 우린 수많은 예술가와 요리사, 엔지니어, 과학자 그리고 정치인들이 서로 교류를 하면서 아이디어를 키워나갔습니다. 그런 도시이기에 이번에는 도시와 관련된 책을 봤습니다. 이번 책은 부담 없이 볼 수 있는 도시 이야기입니다. 다만 전반적으로 책은 사례를 중심으로 된 이야기를 하고 있습니다. 저자는 차량이 아닌, 우리가 직접 걷고 싶은 도시가 진정한 도.. 2018. 2. 13.
맨 프럼 어스 (The Man from Earth , 2007) 인문학 토크쇼를 영화로 만들어 버린 보통 우린 회상하는 내용이 있으면 거기에 해당하는 영상과 연출을 넣곤 합니다. 그런데 이 영화는 그렇지 않습니다. 담담하게 이야기를 나누죠. 재밌는 점은 분야별 전문가라고 할 수 있는 교수들 앞에서 사기를(?) 칩니다. 자기는 1만 년 동안 살아있었고, 이런 저런 일들을 겪었다며 자신의 인생사를 얘기합니다. 모든 게 그럴듯해서 경청하는 교수들도 묘하게 수긍하지마는 자신이 예수라고 말하는 기준으로 영화는 몰입감이 더 깊어지는 것이 재밌습니다. 혹여나 종교가 기독교인 사람에겐 매우 민감한 부분이죠. 그러나 그게 중요한 영화는 아닙니다. 영화가 전반적으로 아우르는 인문학적 이야깃거리가 담담하고, 논리 정연하면서, 역사적 증거물들이 나타나면서 묘한 매력에 빠집니다. 마치 혹여.. 2018. 2. 6.
반응형